이헌구 박사

YSA TOP 10

Harvard University/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이헌구 박사님은 현재 Harvard 의과대학 연계 병원 중 하나인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Molecular Biology Department에서 X chromosome inactivation연구의 선구자 중 한 분인 Dr. Jeannie T. Lee 교수님 실험실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해당 랩에서는 Xist를 비롯한 다양한 long non-coding RNA들의 후생유전학적 조절 기작을 여러 다른 각도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헌구 박사님이 연구중인 Fragile X syndrome 은 자폐성 스펙트럼 질병 중 하나로, 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MR1이라는 단 하나의 유전자가 발현이 되지 않아 생기는 질병입니다. 보통 유전자 이상발현은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한 경우로 생각하기 쉬운데, 특이하게도 Fragile X syndrome 에서 이 유전자가 발현이 되지 않는 이유는 CGG로 이루어진 매우 긴 반복서열에 의한 후생유전학적인 이상조절에 의한 것입니다. 이박사님의 원래 연구 방향은 이 매우 긴 CGG 반복서열이 어떻게 후생유전학적 조절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였고, 이를 위해 반복서열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알려진 DNA methylation을 제거함으로써, 후생유전적 상태를 초기화 시킨 후 이상조절을 재현하려고 하였습니다. 예상치 못하게도, DNA methylation을 제거하여 FMR1 유전자를 재발현시켰을때 이 매우 긴 CGG 반복서열의 길이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박사님은 이러한 현상이 Fragile X syndrome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그에 대한 기작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또 하나의 예상치 못했던 결과가 이박사님의 실험중 negative control에서 발견이 되었고, 그 현상을 연구한 끝에 이 매우 긴 CGG 반복서열에서 R-loop이라는 DNA-RNA hybrid 형성이 이 모든 예상치 못한 현상들의 원인 임을 찾아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헌구 박사님은 반복서열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후생유전학적인 원인 규명을 연구할 계획입니다. 후생유전학 ‘Epi-genetics’ 은 유전학 ‘genetics’ 상위 ‘epi’ 의 레이어, 즉 DNA 염기서열 정보 이외의 조절분자들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그 역사가 길지 않지만 최근 수많은 질병들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후생유전학의 연구분야는 DNA methylation과 Histone modification (methylation, acetylation, ubiquitination, phosphorylation, etc) 그리고 최근엔 RNA 에 의한 조절 (non-coding RNA – e.g. XIST)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염기서열 변화에 의한 유전학적 설명으로는 복잡한 질병을 연구하기에 점점 한계에 다다르고 있고, 후생유전학적인 정보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헌구 박사님께 대화 신청하기

SUHF Fellow

조원기 교수

KAIST

SUHF FELLOW

주영석 교수

KAIST GSMSE

SUHF FELLOW

박현우 교수

연세대학교 | 생화학과

SUHF FELLOW, 고려대

우재성 교수

Korea University | Faculty of Life Science

SUHF FELLOW

이주현 교수

University of Cambridge

SUHF Fellow

황수석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SUHF Fellow

현유봉 교수

서울대학교

SUHF Fellow

최규하 교수

POSTECH

SUHF FELLOW

이정호 교수

KAIST

SUHF FELLOW

이유리 교수

서울대학교

SUHF FELLOW

이은정 교수

Harvard

운영팀

김희형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SUHF FELLOW

임정훈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SUHF FELLOW

윤기준 교수

KAIST |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