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잡-11 : 포스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 이희승 교수
안녕하세요. 신촌 연세대학교 소화기내과에서 췌장암/담도암을 연구 중인 교수 이희승입니다. 함께 연구할 Post-doc 선생님을 모집합니다. 저희 실험실은 췌장암 및 담도암의 환자 혈액 조직 임상 샘플을 이용하여 중개 연구를 수행 중으로, 꿈을 펼칠 선생님을 모십니다.
자세한 사항과 최근 3년간 연구 성과는 아래 기재하였습니다. 한번 읽어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락은 mhpark@yuhs.ac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세의대 소화기내과 췌장암/담도암 연구팀 연구원모집
이희승/조중현 교수님 연구실
(박사급 연구원, PostDoc)
“꿈을 펼칠 포스닥 선생님을 모십니다!”
1.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은 지난 20년간 소화기암 (특히 췌장암과 담도암)의 기초/중개 연구에 모든 전력을 기울여 오고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췌장암/담도암 분야 집중 연구팀이라 자부하고 있습니다. 인류에게 가장 난치 암의 하나이며 2030년 세계 암사망률의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췌장암은 조기진단 법이 전무하고 개발된 치료제도 극히 제한적입니다. 담도암은 세계 2위 다빈도 국가이지만, 더더욱 치료제가 부족한 암으로써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효과적인 치료법이 거의 없이 고통으로 인생을 마감하는 췌장암과 담도암 환자를 위해 진정으로 도움을 줄 수 있고, 다가가는 연구를 해보시고자 하는 뜻 있는 도전을 원하시는 분들을 환영합니다.
2. 연구 분야
1) 소화기암에서의 암줄기세포 (cancer stem cell) 연구 및 특이 표지자 발굴, 조기진단 마커의 발굴 및 타깃 치료제 개발
2) 췌장암 및 담도암, 신경내분비 종양의 organoid (3D 환자 유래 모델) 및 신약 screening model 개발
3) 췌장암 주변 미세 환경 (tumor microenvironment, TME) 및 암연관 섬유화세포(Cancer associated fibroblast) 연구
4) 췌장암 및 담도암의 유전체 분석 및 암 특이적 유전자 분석
5) 췌담도암 조기진단을 위한 액체 생검 및 엑소좀 활용 연구
6) 췌장암 및 담도암의 암전이 및 항암제 내성 기전 연구
3. 연구실의 장점
1) Funding
: 췌장암 오가노이드, 마이크로바이옴, 종양 주위 미세 환경 관련 다양한 국책 과제 수주 및 수행 (현재 2개의 연구재단 중견연구 과제를 포함하여 보건 복지부, 산자부, 범부처 등 다양한 과제를 진행 중임)
2) Collaboration
: 다양한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진행 중임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KAIST,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생화학과, 연세대 의과대학 약리학과/병리학과)
3) Resources
: Cancer biology 연구에 필요한 다수의 전암 병변, 암 병변 조직과 혈액, 암 오가노이드 모델, CAF 모델을 보유중이고 이를 활용 가능하며, WES, RNAseq data, Single cell genomics data를 생산하고 활용 가능.
4) Vibe
: 젊고 도전적인 두 명의 교수와 연구원들이 함께 화목한 분위기의 랩을 운영 중임
4. 공통 자격 요건
1) 학력 : 해당 전공 박사 학위 소지자(필)
2) 모집 분야 : Cancer Biol/Oncology, Genomics, Cell_Biol.
3) 전공 : cell biology, molecular biology, biochemistry, pharmacology 등
6. 접수 방법 및 기타 안내
1) 이력서, 자기소개서, 논문/초록 목록, 학위증명서(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는 실험 경험 위주로 작성하여 주십시요.)
2) 연구에 흥미가 있고, 성실한 분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3) 연봉 : 의과대학 내규에 따름
4) 유의사항
– 입사 지원 서류에 허위사실이 발견될 경우, 채용 확정 이후라도 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본 구인 공고는 연세의료원 산학협력단 소속이 아닌, 췌장/담도암 연구팀 소속의 연구원모집입니다.
7. 대표 논문 목록 (최근 3년 이내)
1) Yoo, H.-B. et al. A TEAD2-driven endothelial-like program shapes basal-like differentiation and metastasis of pancreatic cancer. Gastroenterology (2023), 1st author (IF: 33.883)
2) Lee HS, Han DH, Cho K, et al: Integrative analysis of multiple genomic data from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organoids enables tumor subtyping. Nat Commun 14:237, 2023, 1st author (IF : 17.694)
3) Jeong MH, Son T, Tae YK, et al: Plasmon-Enhanced Single Extracellular Vesicle Analysis for Cholangiocarcinoma Diagnosis. Adv Sci (Weinh):e2205148, 2023, Corresponding author (IF: 17.521)
4) Gurudatt NG, Gwak H, Hyun K-A, et al: Electrochemical detection and analysis of tumor-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evaluate malignancy of pancreatic cystic neoplasm using integrated microfluidic devic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26:115124, 2023. Corresponding author (IF: 12.545)
5) Jo JH, Jung DE, Lee HS, et al: A phase I/II study of ivaltinostat combined with gemcitabine and erlotinib in patients with untreated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pancreatic adenocarcinoma. Int J Cancer 151:1565-1577, 2022, 1st author (IF : 7.316)
6) Hee Seung Lee, Eunyoung Kim, Jinyoung Lee, et al. Profiling of conditionally reprogrammed cell lines for in vitro chemotherapy response prediction of pancreatic cancer, EBioMedicine, 2021, 1st author (IF : 11.205)
편집 | 허수빈
슬랙 채널 바이오잡 바로가기: https://k-biox.slack.com/archives/C01L64VP2LD/p1693979805942629?thread_ts=1693468070.215919&cid=C01L64VP2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