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0] 9월 18일자 논문방의 ‘논문 한 조각’ 💎 🍞 -논문 천사 이유나 –

 

안녕하세요 오늘 발견된 귀중한 논문 보석들을 소개하는 K-BioX 운영팀 이유나입니다.

매일 같이 수많은 저널에서 논문이 쏟아지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여러 분야를 다룬 논문에 일일이 모두 관심을 가지기란 쉽지 않습니다.  저마다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숨겨져 있다가 K-BioX의 biomedical 디스커션 채팅을 통해 새롭게 발굴된 논문들을 요약해 소개드립니다!

 

1. Calhm2 governs astrocytic ATP releasing i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like behaviors

https://www-nature-com-ssl.access.ewha.ac.kr/articles/mp2017229

 

[논공요] Calhm2가 우울 행동에서 astrocyte의 ATP releasing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해 밝힌 논문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in vitro 및 in vivo 실험에 기반하여 Calhm2를 ATP-releasing channel protein임을 밝혔습니다. Calhm2의 conventional knockout 과 conditional astrocyte knockout은 모두 mouse에서 ATP 농도 감소, 해마 척추 수의 감소, 신경 기능 장애 및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을 유발하며, 이는 ATP 보충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Calhm2가 ATP-releasing channel protein으로서 신경 활동을 조절에 관여하며 우울증의 잠재적인 risk factor임을 밝혔습니다.

 

보석 발굴가: 민수빈 님 

 

 

2. Codon optimality, bias and usage in translation and mRNA decay

https://www.nature.com/articles/nrm.2017.91

 

[논공요] human tRNA codon efficieny에 관한 리뷰 논문입니다. 저희가 보통 ATG(AUG) 에 의해 protein translation이 된다고 잘 알고 있지만, 낮은 효율로 non-AUG start codon에 의해서도 단백질이 발현됩니다.

 

 

리보솜 프로파일링 등 method의 발전으로, transcriptome에서 synonymous codon들을 고르지 않게 사용하는 codon bias가 단백질 생산의 효율성, 번역의 충실도, mRNA의 metabolism 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secondary genetic code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최근 mRNA decay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ribosome dynamics과 mRNA 전사의 안정성 사이에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리뷰 논문에서는 먼저 translation perturbation이 번역 효율, 단백질 폴딩 및 전사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본 메커니즘부터 시작하여 번역에 대한 codon-dependent effects에 대한 증거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어서, 세포에서 codon effect를 활용하여 항상성 유지, 성장 또는 분화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 실행, 단백질 생산 효율성 최적화를 위한 단백질체 조정 등의 방안에 관해 논의합니다.

 

보석 발굴가: Hong 님 

 

 

3. Impact of prior dengue virus infection on Zika virus infection during pregnancy in marmosets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translmed.abq6517

 

[논공요] 지카바이러스가 뎅기바이러스에 의해 형성된 안티바디를 이용하여 태아 감염을 증가시킨다는 논문입니다.

 

 

임신 중 Zika virus(ZIKV) 감염은 신생아에게 congenital Zika syndrome(CZS)이라는 심각한 발달 결함을 유발합니다. 그러나, 기존에 ZIKV-associated CZS에 기여하는 요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본 논문을 발표한 연구진은 임신중 ZIKV 감염이 선행되었던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의 cross-reactive antibody를 매개로 하여 항체 의존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습니다. 한 마리 당 5~6마리의 태아를 가진 암컷 마모셋 4마리를 대상으로 이 가설에 관해 시험해 본 결과 뎅기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있는 태반과 태아 조직에서는 negative-sense viral RNA copy가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지만, 뎅기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없는 경우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바이러스 단백질 또한 전자의 경우에서 태반과 태아 조직 곳곳에 널리 퍼져 있음을 관찰하였습니다. 추후 대규모 연구를 통하여 검증이 필요하지만, 뎅기열 바이러스 면역과 지카바이러스의 감염 간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보석 발굴가: Seeun Oh 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편집: 이유나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SUHF Fellow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