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1] 9월 19일자 논문 보석 💎 – 논문 천사 홍주연🦄 –
오늘 발굴된 보석들을 확인하시겠습니까?
안녕하세요! 오늘 발굴된 귀중한 논문들을 소개하고자 찾아온 K-BioX 운영팀 홍주연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논문 포럼방에서는 좋은 논문들이 공유되고, 이와 관련하여 디스커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보석같이 반짝이는 멋진 논문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 Human chimeric antigen receptor macrophages for cancer immunotherap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7-020-0462-y
[논공요] 대식세포의 tumor에 대한 침투 능력을 감안하여, 인간 대식세포를 CAR 수용체와 결합시켜 solid tumor에 대한 phagocytic activity를 타겟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적 설계와 이의 효과를 입증하는 논문입니다.
이 논문에서는CAR macrophages (CAR-Ms)가 체외에서 항원 특이적 phagocytosis 와 tumor clearance 활동을 보인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두 마리의 고형 종양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 인간 CAR-Ms 주입하면 tumor burden을 줄이고, 전체 생존기간을 연장시킨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CAR-Ms는 추가적으로 소염성 종양 미세환경을 유도하고, anti-tumor T세포의 활동을 촉진하는 것을 밝혔습니다. 이는 solid tumor의 치료제 개발 및 tumpr progression의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보석 발굴가: 권오빈 님
- A systematic study of the function of the human β-globin introns on the expression of the human coagulation factor IX in cultured Chinese hamster ovary cells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1002/jgm.1367
[논공요] 햄스터 난소 세포에서 인간 beta-globin intron이 human coagulation factor IX의 발현에 주는 영향에 관한 논문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intronic sequence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진핵세포에서의 유전 발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human beta-globin (hBG) intron을 cytomegalovirus가 조절된 plasmid의 human factor IX (hFIX) cDNA에 주입합니다. 그 결과 hBG intron이 hFIX의 발현을 실제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특정 intron에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TFB) motif의 frequency를 높여 이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였고, TFB가 hBG intron이 발현조절 역할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보석 발굴가: hong 님
- Spatial transcriptomics stratifies psoriatic disease severity by emergent cellular ecosystems
https://doi-org-ssl.access.hanyang.ac.kr:8443/10.1126/sciimmunol.abq7991
[논공요] 건선 환자들에게서 spatial transcriptome을 진행한 논문으로, 이의 tissue context와 systematic effect를 알아내는 논문입니다.
건선은 종종 전신 합병증을 동반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spatial transxriptomics (ST)을 사용하여 피부 생체검사 내 면역 niche를 연구하였습니다. 이와 세포 분해능을 얻기 위해 공개된 단일세포 전사체학 데이터를 결합하여 건선이 B cell를 포함한 면역 세포의 피부 상층으로의 재배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와 같이 이 논문은 spatial transcriptomics이 cellular, immune, 그리고 molecular landscape 와 같은 건선 질병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보석 발굴가: 이서연 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노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편집: 홍주연 (https://kbiox.net/홍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