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2] 9월 21일자 논문 조각품 💎🔨- 논문 천사 김희형 –
✨오늘 전시된 보석 조각품 안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의 K-BioX 논문 보석 조각가 김희형입니다!💍🔨
논문방은 가치 있는 지식의 보석함으로서, 다양하고 소중한 논문들이 매일 매일 공유되고 있습니다. 이 보석들을 최상의 형태로 조각하여 더 많은 분들이 그 가치를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의 전시를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1. A Unified Strategy to Improve Lipid Nanoparticle Mediated mRNA Delivery Using Adenosine Triphosphate (2023).
[논공요] ATP를 이용한 LNP-RNA의 발현 조절에 관한 논문입니다.
#COVID-19_백신 #mRNA_발현 #LNPS(지질나노입자) #ATP
COVID-19백신의 LNPs(지질나노입자)를 개선 시켜 mRNA의 단백질 발현을 향상 시킨 연구
화학 및 약물 전달 과학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주어진 약을 최소한의 용량으로 사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Moderna 및 Pfizer/BioNTech COVID-19 백신에서 사용되는 임상 승인된 화학 플랫폼인 지질 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s, LNPs)를 사용하여 mRNA 약물 전달을 개선하기 위한 범용 전략을 보고한다. mRNA에 ATP를 포함하도록 LNPs를 개선시켰으며, 이는 ATP를 포함하지 않는 원래의 mRNA LNP와 비교해 vitro에서 LNP로 전달된 mRNA로부터 단백질 발현을 최대 79배 이상 증가시키고, vivo에서는 24배 이상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질병 치료를 개발하는 데 유용한,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석 발굴가: JungEun Baik 님
2. Co-varying neighborhood analysis identifies cell populations associated with phenotypes of interest from single-cell transcriptomics (2022).
[논공요] single-cell 분석에서 cluster-based approach 방식보다 더 큰 유연성으로 관련 세포 집단을 식별하는 편향되지 않은 방법인 CNA(co-varying neighborhood analysis) 에 대한 논문입니다.
#Single-cell 분석 #CNA(공변동_이웃_분석법)
더 민감하고 정확한 single cell 분석법 ‘Co-varying Neighborhood Analysis, CNA’ 에 관한 연구
single-cell datasets은 샘플 크기로 확장되어, 샘플 간 변동되는 세포 상태를 특성화하고 샘플 속성과 연관 짓는 것에서 중요성이 대두된다. 현재 사용되는 통계적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세포를 클러스터에 mapping한 다음 클러스터의 abundance를 평가한다.
이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접근 방식보다 유연성이 더 큰 연관 세포 모집단을 식별하기 위한 편향되지 않은 방법인 ‘Co-varying Neighborhood Analysis, CNA’를 제시합니다. CNA는 공변(co-varying)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전사 공간 내의 작은 지역 그룹인 ‘neighborhoods’을 식별해 샘플 간 변화의 주요한 축을 특성화한다. CNA는 이러한 공변동 이웃 그룹의 abuncance와 모든 샘플 수준의 속성 간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테스트하며, 그 결과 클러스터 기반 접근 방식보다 질병과 관련된 세포 상태를 더 민감하고 정확하게 식별한다.
보석 발굴가: 가경님
3. A virtual memory CD8+ T cell-originated subset causes alopecia areata through innate-like cytotoxicity (2023).
[논공요] Virtual memory T cell로 부터 유래된 면역세포군이 원형탈모증 발병의 핵심 원인임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입니다.
#Immunology #Virtual_memory_ T_cell #원형탈모증_원인
Virtual memory T cell을 분석하여 만성염증성 질환 원인의 면역학적 메커니즘을 새롭게 밝힌 연구
Virtual memory T (TVM) 세포는 기억 표현형의 T 세포 하위 유형으로, 외부 항원에 사전 노출되지 않고, 항바이러스 및 항세균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염증성 질환의 병원성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이 논문에서는 조직 거주(tissue residency) 특성을 가진 ‘CD44super-highCD49dlo CD8+ T 세포’의 하위 집단을 식별하였다. 연구 결과, 이 세포는 탈모원반(alopecia areata)을 유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전적으로 IL-12, IL-15 및 IL-18 자극에 의해 기존 TVM 세포에서 유도될 수 있다. 또, 병원성 활동은 NKG2D의 선천적 세포 독성으로 매개되며, 이는 IL-15 자극에 의해 증가하고 질병 발병을 유발한다. 논문에서는 이 데이터를 통해 TVM 세포가 세포 독성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면역학적 메커니즘을 세롭게 제안하고 있다.
보석 발굴가: 이민주님
편집: 김희형
오늘의 전시를 관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논문보석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