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3] 9월 23일자 논문 보석 💎 – 논문 천사 원혜원 –

안녕하세요 오늘의 K-BioX 논문 보석 조각가 원혜원입니다.

과학자분들의 열띤 연구로 정말 보석 같은 수많은 논문들이 공개되고 있습니다.

K-BioX 회원분들은 매일 활발한 디스커션을 통해 보석 같은 논문들을 발굴해주시고 계신데요,
저는 이 중에서 흥미로운 논문 3가지를 조각하여 여러분들께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오늘의 논문보석을 소개합니다 💎

 

 

 

1.Sexy sons and sexy daughters: the influence of parents’ facial characteristics on offspring
https://doi.org/10.1016/j.anbehav.2008.07.031

이 연구에서는 가족 사진을 사용하여 인간의 파트너 선택에 관한 선택적 성적 선호 이론의 예측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얼굴 매력이 자녀의 얼굴 매력을 예측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매력이 딸의 매력에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남성성과 관련성이 있지만 매력에서는 그러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파트너 선택이 어떻게 작용하며, 어떤 특성이 유전되는지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진화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해석하고자 한다. 즉, 우리가 파트너를 선택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진화 이론들을 검증하고 보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Fisherian selection processes와 good genes theory의 일부 내용과는 일치하였으나, correlated response theory와 the immunocompetence handicap principle의 내용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석 발굴가 : 동균님

 

2.An orthogonal metabolic framework for one-carbon utilization
https://doi.org/10.1038/s42255-021-00453-0

이 연구에서는 C1 bioconversion을 위한 synthetic pathway를 개발하고, 이를 기존의 metabolic network와 분리하여 기본 대사와의 상호의존성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그래서 제시한 것이 FORCE 경로인데, 이는 2-hydroxyacyl-CoA lyase에 의해 촉매되는 formyl-CoA elongation (FORCE)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연구 결과 formate, formaldehyde, methanol과 같은 C1 unit을 glycolate, ethylene glycol, ethanol, glycerate와 같은 multicarbon product로 직접 전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존의 방식은 host metabolic network와 상호 작용하고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metabolic network의 복잡성과 부작용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새롭게 제시된 FORCE pathway는 기존 대사와 분리되어 호스트 생물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C1 화학물질을 변환하였다. 따라서 해당 연구는 Metabolic engineering에 대해 기존 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보석 발굴가 : 강창근님

 

3.Cancer cell plasticity during tumor progression, metastasis and response to therapy
https://doi.org/10.1038/s43018-023-00595-y

Cell plasticity는 세포가 프로그래밍되고 운명과 정체성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며, 손상 후 체질 안정성 복원과 조직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cell plasticity는 cancer와 같은 병리적 상태에도 기여하며, 세포가 새로운 표현형 및 기능적 특성을 획득하도록 하여 tumor initiation, progression, metastasis, resistance to therapy에 기여한다. 해당 연구에서는 세포 가용성과 관련하여 종양의 성장 및 암 진행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언급하며, 특히 cell plasticity를 촉진하는 내재 및 외재적 메커니즘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한 항암 치료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제시된다. 따라서 해당 논문은 암 연구에 있어서 중요성을 갖는다.

보석 발굴가 : 김희형

 

 

 

 

오늘 소개한 보석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에서 발굴된 보석들입니다.

매일 많은 보석 발굴가분들과 함께 활발한 디스커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을 함께 공유하고 디스커션에 참여하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채팅방 바로가기 : https://open.kakao.com/o/gBQ0CWTd

다음에 찾아올 논문 천사의 글도 기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편집 | 원혜원

Responses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CURINC 컨설팅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