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5] 9월 26일자 논문 보석 💎 – 논문 천사 조아란 –

💙☁️ 오늘 발굴된 논문 보석들을 소개합니다 ! ☁️💙

 

안녕하세요 오늘 발견된 논문 보석을 소개하게 된 K-BioX 조아란입니다 !

논문 포럼방에서는 다양한 학술적 논문에 대한 정보가 쏟아지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 발굴된 따끈따끈한 논문들에 대하여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

그러면 오늘의 논문보석 구경하러 가보실까요? 💎 

 

1. The mechanisms and roles of selective autophagy in mammal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0-022-00542-2

 

[논공요] autophagy inducer로 퇴행성 뇌질환 치료의 가능성은 오랜동안 논의 되어 왔으나, 아직 그러한 기전으로 허가 받은 약물은 없고, 지속된 nonspecific autophagy induction 환경이 이미 pathogenic한 상황의 neuron에 benefit이 있을지는 아직 확실한 결론은 없지 않은가 하는 사견이 있습니다. 표적 특이적이면서도, 간헐적인 autophagy induction이 필요한게 아닌가, 약물 TPP 설정을 오랜 동안 고민중입니다. 이 논문은 최신 selective autophagy에 대한 리뷰논문입니다.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 내 구성 요소를 분해하는 세포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비선택적으로 영양 부족 상황에서 발생하는 대량 자가포식과, 특정 세포 구조를 대상으로 하는 선택적 자가포식으로 나뉩니다. 비선택적 자가포식은 주로 영양 부족 시 일어나며, 선택적 자가포식은 손상된 세포 기관, 침투한 세균 등 특정 대상물을 대상으로 합니다. 선택적 자가포식의 이상은 주로 신경병증 및 감염과 같은 다양한 인간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선택적 자가포식 수행과정에 관한 정보가 증가했으며, p62, NBR1, OPTN, NDP52와 같은 선택적 자가포식 수행을 위한 수용체의 발견도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연구로 인해 선택적 자가포식 경로를 개선하여 세포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질병의 완화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보석 발굴가: 와이제이 님

 

2.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lzheimer’s disease genetic variants in microglia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8-023-01506-8

 

[논공요] microglia variant에 따른 AD 연관성에 관한 functional characterization을 연구한 문헌입니다.

 

 

이 연구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는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미세아교세포의 조절 요소에서 308개의 새로운 유전적 위험 변이를 발견하고,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이러한 변이들을 특정 유전자와 연결시켰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rs7922621이라는 하나의 변이가 TSPAN14라는 유전자를 영향을 미치며 알츠하이머병의 중요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연구는 이 병에 기여하는 유전적 요소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그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창출효과를 만들어냈습니다.

 

보석 발굴가: Hong 님

 

3. Neural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midbrain organoids as a stable source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Midbrain organoid-NSCs (Og-NSC) as a stable source for PD treatmen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01008221001003?via%3Dihub

 

[논공요] IPSC 유래 인간중뇌 오가노이드에서 파키슨병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 논문입니다.

 

 

이 연구는 인간 다분법 줄기세포(hPSCs) 유래 중뇌 조직을 이용하여 파킨슨병(PD) 치료에 사용되는 세포를 얻어냅니다. 중뇌 조직에서 분리한 신경 줄기/전구세포(Og-NSCs)는 안정적으로 확장되어 중뇌형 도파민 신경(mDA)로 분화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세포 라인과 배치 간 변이를 가지고 중뇌 특이 요소를 표현해냅니다.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 후 체외 실험 결과, Og-NSC 배양세포의 대부분이 2D 배양 환경에서 유래한 세포와 비교했을 때, 세포 노화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복부 중뇌(VM) 패턴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아스트로사이트 분화 없이 중뇌 도파민 신경을 생성하는 현재의 방법과 대조적으로, Og-NSCs에서 분화한 중뇌 도파민 신경은 뇌 환경과 같이 아스트로사이트와 혼합되어 있었습니다. 그 결과, Og-NSC로부터 분화된 중뇌 도파민 신경은 이식 후 장기적으로 약물 독성에 대한 내성 및 중뇌 특이 요소의 충실한 발현을 나타내며 PD 모델 동물에서 반복 가능한 치료 결과를 제공했습니다. 이로써 이 연구결과가 임상 환경에서 PD 세포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보석 발굴가: 김영란 님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는 논문을 가져왔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이 링크를 통해 K-BioX 저널 디스커션에 동참하고 다양한 논문정보를 받아보세요 !

 

편집: 조아란

Responses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CURINC 컨설팅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