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7] 9월 28일자 논문 보석💎 -논문 천사 이유나 –

 

안녕하세요,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 발견된 귀중한 논문 보석들을 소개하는 K-BioX 운영팀 이유나입니다.

추석 연휴임에도 논문 디스커션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매일 같이 수많은 저널에서 논문이 쏟아지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여러 분야를 다룬 논문에 일일이 모두 관심을 가지기란 쉽지 않습니다.  저마다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숨겨져 있다가 K-BioX의 biomedical 디스커션 채팅을 통해 새롭게 발굴된 논문들을 요약해 소개드립니다! 

 

1. Novel insights into double-stranded RNA-mediated immunopatholog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77-023-00940-3

 

[논공요] double strand RNA에 대한 면역반응에 관한 논문입니다.

 

Fig. ADAR1-p150 regulates the double-stranded RNA response

 

 

이 논문은 RNA editing enzyme ADAR1에 변이를 가진 Aicardi–Goutières syndrome (AGS) model에 초점을 맞추어, 손상된 dsRNA metabolism이 어떻게 immunopathology에 관여하는지 요약한 리뷰 논문입니다. self dsRNA의 인식은 type I interferon의 수치 증가, dsRNA-specifc immune sensor MDA5의 활성화, interferon-inducible innate immune receptors PKR와 ZBP1의 활성을 통해 immunopathology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보석 발굴가 : JungEun Baik 님

 

 

2. APOE4 impairs the microglial response in Alzheimer’s disease by inducing TGFβ-mediated checkpoint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0-023-01627-6

 

[논공요] 해당 논문은 알츠하이머 질병 onset에 강력한 유전적 요소로 알려진 APOE4가 TGFB-mediated checkpoints를 활성화시킴으로써 microglia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밝힌 논문입니다.

 

Fig. Targeting microglial APOE4 promotes astrocyte activation and recruitment to plaques in APP/PS1 mice.

 

APOE4 대립유전자는 late-onset AD에서 가장 위험한 유전적 요소로 알려져 있었고, 특히 이 유전자는 neurodegenerative microglia (MGnD)에서 활발히 발현됩니다. 그러나 MGnD APOE가 AD 발병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MGnD APOE deletion이 pathopogical phenotype을 보이는 마우스 모델(P301S tau transgenic mice, APP/PS1 mice)에서 신경 손상을 완화함을 보였습니다. 또한, APOE4가 ITGB8–TGFβ signaling 증가를 매개함으로서 microglial homeostatic checkpoint들을 강화하여 MGnD의 활동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AD에서 APOE4-ITGB8–TGFβ signaling을 차단하여 MGnD 활성을 복원하는 유망한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

 

보석 발굴가: 민수빈 님 

 

 

3. Anti-tumor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s mediated by aminopeptidase N/CD13

https://doi.org/10.1016/j.apsb.2011.06.002

 

[일반 질문] Asn-Gly-Arg(NGR) peptide가 아데노바이러스가 tumor cell에 uptake되도록 도와준다는데, 그 기작을 아시는 분 계시나요?

 

아데노 바이러스랑 연관성까진 잘 모르겠는데 tumor cell 연관이라면 이 내용 밖에 모르겠네요. 혹시 아데노 바이러스가 세포막에 Aminopeptidase N (APN)/CD13 가지고 있나요?

 

아마 사람한테 있는 것이고 바이러스에는 없겠지요?

 

그럼 NGR이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antigen인 것일지 궁금하네요.

 

Chang Liu et al, A Unified Mechanism for Aminopeptidase N-based Tumor Cell Motility and Tumor-homing Therap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4

 

Aminopeptidase N (APN)/CD13는 막을 가로질러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종양세포에서 과발현되어 종양의 혈관 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sn-Gly-Arg(NGR) peptide는 APN/CD13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APN/CD13가 발현되어 있는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한 약물 전달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본 리뷰 논문은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한 약물전달 시스템 연구의 기존 및 최신 동향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보석 발굴가: 안진형 님, 혜연/ Aileen, 정윤 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편집: 이유나

Responses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CURINC 컨설팅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