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34] 2월 18일자 논문방의 ‘논문빵’ 💎 🍞 -논문 천사 왕순홍 –

주문하신 논문빵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의 K-BioX 빵 제조자 왕순홍입니다! 성공한 서밋이 이어서 새로운 분들을 환영하는 겸에  여러분에게 맛있는 논문”빵’ 제조해드렸습니다~!

지속적으로 논문천사에 응원해주시는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공유해주신 논문들이 보석 같이 소중한데 마친 빵처럼 메일 메일 신선하게 발굴된 논문을 소개드리겠습니다! 💎🍞

 

1.The mechanisms of nanoparticles delivery to solid tumors 

논문 정보: 

Nguyen, L.N.M., Ngo, W., Lin, Z.P. et al. The mechanisms of nanoparticle delivery to solid tumours. Nat Rev Bioeng (2024). https://doi.org/10.1038/s44222-024-00154-9

 

논문 요약:  Nano particles 활용한 종양 치료에 대한 연구방향 및 중심 기술 리뷰 논문이다.  Nano particles의 치료 mechanism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active transport and retention)과 그 각자의 entry mechanism, transport mechanism, retention emchanism및 exit mechanism을 리뷰하다.

키포인트:

1.) 나노 입자들이 종양 상피 세포들의 공간으로 친입하며 종양 주변 림프관으로 빠진다는 것이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효과이다. 하지만 EPR는 나노입지 종양  침투 메카니즘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2.) 나노입자는 암의 감지 및 치료를 위한 영상 제제와 치료제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의학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려면 종양에 충분한 용량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3.) 나노입자는 종양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에서 실패하는 1위 원인은 전달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 이해 부족으로 인한 것이다.

4.) 활성 운반 및 보유 원칙은 EPR 효과에 도전하여 활성 나노입자 진입, 보유 및 이탈 메커니즘을 제안하며, 이것이 고형 종양으로의 나노입자 전달의 기저에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레시피 제공자: 준서현서아빠님

논문 공유자: 임지민님, 이지영님,

 

2.The NAD ratio redox paradox: Why does too much reductive power cause oxidative stress?

논문 정보: Teodoro, João Soeiro et al. “The NAD ratio redox paradox: why does too much reductive power cause oxidative stress?.” Toxicology mechanisms and methods vol. 23,5 (2013): 297-302. doi:10.3109/15376516.2012.759305

 

논문 요약:

NADH 라는 대사 필수 인자 및 탕뇨병 대사 인자 초과로 일으킨 oxidiative stress에 대한 리뷰논문입니다.

키 포인트: 에너지 스트레스(예: 낮은 ATP 수준)가 발생하면 AMP 상승뿐만 아니라 NAD 비율의 영구적인 증가도 유발된다. 따라서 세포 기계에는 더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생성하여 더 많은 ATP를 생성하도록 신호가 전달되는데 문제는 우리의 세포(또는 우리 몸)가 기질이 풍부한 환경에서 진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과잉 영양소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ATP 수준이 증가하고 영구적인 높은 NADH 함량은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기계를 중단시키게  되며 이는 질병 진행 초기 단계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과도한 영양소를 활용하지 못하고 따라서 제거하지 못하면 결국 세포의 소멸로 이어질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생성을 신호하는 것이 중단된 상태에서 과도한 환원적인 환경과 증가한 영양소 가능성은 기존 미토콘드리아를 과로하게 만들어 자체 DNA를 손상시켜 ROS를 더 생성하게 되며 따라서 비효율적으로 사슬 복합체를 생성하게 되면 문제는 악화되어 결국 세포의 운명이 봉쇄될 것이다.

 

레시피 제공자: 김보선님

논문 공유자:  이서영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450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논문천사 모집중입니다. 함께 즐거운 학술 활동을 해요!

모집 링크:  https://open.kakao.com/o/s2xbMB7f

 

 

편집자: 왕순홍

Responses

Netbook 2024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