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4] 9월 2일자 논문방의 ‘논문빵’ 💎 🍞 -논문 천사 왕순홍 –

주문하신 논문빵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의 K-BioX 빵 제조자 왕순홍입니다!

모든 분들이 지속적으로 논문방에사 열심히 좋은 논문 공유를 해주시고 있습니다!

공유해주신 논문들이 보석 같이 소중한데 마친 빵처럼 메일 메일 신선하게 발굴된 논문을 소개드리겠습니다! 💎🍞

 

1. Efficacy and safety of once-weekly semaglutide monotherapy versus placebo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USTAIN 1):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parallel-group, multinational, multicentre phase 3a trial  2021

논문 정보: Christopher Sorli, Shin-ichi Harashima, George M Tsoukas, Jeffrey Unger, Julie Derving Karsbøl, Thomas Hansen, Stephen C Bain,Efficacy and safety of once-weekly semaglutide monotherapy versus placebo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USTAIN 1):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multinational, multicentre phase 3a tria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39591/

 

논문 요약:

This paper reviewed the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of semaglutide (a glucagon-like peptide-1 or GLP-1) monotherapy in treatment on type 2 diabetes patients, while having placebo as a comparing standard on maintaining optical serum glucose control. The most significant findings include dramatical increase in HbA and bodyweigh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ile compared with placebo, which could be interpreted that semaglutide monotherapy functions the same fundamentally with currently available GLP-1 receptor agonists and can be taken as potential treatment for type 2 diabetes.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세마글루타이드의 효과와 안전성 연구

최근 연구에서는 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글루카곤-류 펩티드-1 또는 GLP-1) 단독 치료의 효능, 안전성 및 내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에서는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혈당 조절을 유지하는 표준을 기준으로 세마글루타이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가장 주요한 결과 중 하나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헤모글로빈A(HbA)와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는데, 이는 플라시보에 비해 세마글루타이드 단독 치료가 현재 사용 가능한 GLP-1 수용체 작용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세마글루타이드는 2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보석 발굴가: 정윤 박사

 

2. A defect in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impairs iron metabolism and causes elevated ceramide levels

논문 정보: Dutta, D., Kanca, O., Byeon, S.K. et al. A defect in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impairs iron metabolism and causes elevated ceramide levels. Nat Metab (2023).

https://doi.org/10.1038/s42255-023-00873-0

 

 

논문 요약:

This study showed that loss of mitochondrial enoyl coenzyme A reductase (Mecr), the enzyme needed for last stage of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could lead to increase in iron and ceramide levels. Besides that, neuronal loss of Mecr with raised levels of iron and ceramide could cause neurodegeneration, lowering iron or ceramide levels suppress the neurodegeneration phenotype. Human Mecr can also functionally replace fly’s Mecr.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is paper the role of Mecr in ceramide and iron metabolism is demonstrated, and the relation between Mecr and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discovered.

 

신규 연구, 미토콘드리아 Mecr 효소의 결손이 신경퇴화를 촉진하는 원인 발견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 필요한 미토콘드리아 에노일 코엔자임 A 환원효소(Mecr)의 손실이 철분과 세라마이드 수준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혔다. 추가적으로, 신경세포에서 Mecr의 손실과 함께 철분 및 세라마이드 수준의 상승은 신경퇴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철분 또는 세라마이드 수준을 감소시키면 신경퇴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의 Mecr이 곤충의 Mecr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Mecr의 세라마이드와 철분 대사에 대한 역할, 그리고 Mecr과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합성 간의 관계가 새롭게 밝혀졌다.

보석 발굴가: Woo Jae Kim 교수

 

3.The use of iPSC technology for model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논문 정보: Fabiele Baldino Russo, Anita Brito, Ariane Miranda de Freitas, Andrelissa Castanha, Beatriz C. de Freitas, Patricia Cristina Baleeiro Beltrão-Braga, The use of iPSC technology for model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Neurobiology of Disease.

https://doi.org/10.1016/j.nbd.2019.104483

 

논문 요약:

This review paper re-assessed the achievement and future potential of iPSCs in helping understand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hich is a neurodevelopmental disease that disrupts several basic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communication, behaviors and interactions. The team aimed to differentiate patient-derived stem cell into affected neuronal cell and model the disease in-vitro following the work flow shown in the diagram above, all without the hassle of ethic related issue. The paper also discussed how different affected neuronal cells that causes autism could be potentially modelled with iPSCs.

 

 

보석 발굴가: 혜연 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55명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프리미엄 후원사
인재풀 등록 QR코드
SUHF Fellow
골드 후원사
기부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