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5] 9월 7일자 논문 조각품 💎🔨- 논문 천사 김희형 –
✨오늘 전시된 보석 조각품 안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의 K-BioX 논문 보석 조각가 김희형입니다!💍🔨
논문방은 가치 있는 지식의 보석함으로서, 다양하고 소중한 논문들이 매일 매일 공유되고 있습니다. 이 보석들을 최상의 형태로 조각하여 더 많은 분들이 그 가치를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의 전시를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1. Disrupted endoplasmic reticulum-mediated autophagosomal biogenesis in a Drosophila model of C9-ALS-FTD (2023).
[논공요] 초파리 모델동물 이용하여 세포소기관 상호작용을 ER-autophagy로 본 논문입니다.
Dynamic ER tubules가 autophagy(자가포식작용)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한 연구
ALS(근위축측삭경화증)와 FTD(전두반변성 치매) 관련 ‘C9orf72 유전자’ 변이로 인한 자가포식작용 저해 메커니즘을 다룬다. 유전자 변이 상태(G4C2 반복)인 초파리의 운동 신경세포에서 autophagy 동역학을 조사한 결과, 자가포식관련 주요 세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시냅스 말단에서 autophagosomes생성이 어려워졌다. 또, 세포 내부 ER의 구조와 동역학이 복잡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dynamic ER tubules가 autophagy 에서 핵심 역할을 함을 강조하며, 이 과정이 ALS-FTD와 관련된 C9orf72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방해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석 발굴가: 박정원 Jeongwon 님
2. Cortical astrocytes modulate dominance behavior in male mice by regulating synaptic excitatory and inhibitory balance (2023).
[논공요] astrocyte와 behavior의 연관성 관련 논문입니다.
대뇌 피질 astrocytes가 시냅스의 흥분성 및 억제성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행동을 조절하고 사회적 계급에 영향을 줌을 밝히는 논문
성상교세포(astrocytes)는 흥분성 및 억제성 뉴런 활동 사이의 균형을 최적화하는 데 관여하며, 이는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등내측 전두엽 피질(dmPFC) 성상교세포가 지배 행동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광섬유 측정 및 이광자 현미경으로, 성인 수컷 쥐에서 dmPFC 성상교세포가 흥분성-억제성 뉴런 활동의 균형과 지배 행동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dmPFC 성상교세포의 광유전학 및 화학유전학적 활성화 혹은 억제는 남성 쥐의 지배 행동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며 사회적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 지배적-쥐와 피지배적-쥐에서 성상교세포 활동에 의해 조절되는 전두엽 시냅스 흥분 및 억제 균형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dmPFC 성상교세포가 성상교세포 유래 글루타메이트와 ATP 방출을 통해 시냅스 전/후 흥분성-억제성 전송을 동시에 증가/감소시킴으로써 대뇌 흥분성 및 억제성 균형을 조절함을 보여준다. 어떻게 ‘dmPFC 성상교세포와 뉴런의 상호작용’이 성인 수컷 쥐의 사회적 계급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보석 발굴가: 강민지 님
편집: 김희형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