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논문 보석 – 16] 9월 27일자 논문 보석 💎 – 논문 천사 신채림 –
⚠️오늘 발굴된 보석들을 확인하시겠습니까?⚠️
안녕하세요 오늘 발견된 귀중한 논문 보석들을 소개하는 K-BioX 기자단 신채림입니다
무궁무진하게 넓은 인터넷 바닷속에는 보석같은 논문들이 여기저기 숨겨져 있는데요
이 보석같은 논문들을 하나하나씩 발굴하는 논문 천사들의 오늘의 보석을 소개합니다 💎
1. Efficient and accurate large library ligand docking with KarmaDock
nature.com
[논공요] 전통적인 docking tools나 기존의 deep learning method에 비해 속도, docking pose quality, binding affinity accuracy 측면에서 향상을 가져온 딥러닝 모델 KarmaDock에 대한 논문입니다. 4가지 벤치마크 데이터셋 뿐만 아니라 심지어 실제 virtual screening에서 test해보았을때 실험으로 증명된 억제제를 정확히 구별해내는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뉴 테크놀로지인 KarmaDock은 약물 개발 분야에서 사용되는 리간드 도킹의 딥 러닝 접근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도킹 속도 향상, 정확한 분자 포즈 생성 및 결합 강도 예측을 개선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단백질과 리간드의 상호작용을 학습하는 인코더, 그래프 신경망 및 혼합 밀도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벤치마크 데이터셋에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류코사이트 티로신 키나제(LTK) 억제제 탐색과 관련된 실제 가상 스크리닝 프로젝트에서도 성공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보석 발굴가: 정창욱 님
2. Trifluridine–Tipiracil and Bevacizumab in Refractory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논공요] 전이성 대장암의 3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기존의 론설프에 VEGF저해제인 Bevacizumab을 병용하였을때 Overall survival과 Progression free survival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는 논문입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FDA로 부터 론설프+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이 대장암 3차치료제로 허가 받았습니다.
이 연구는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trifluridine–tipiracil (FTD–TPI) 치료에 bevacizumab를 추가한 집단이 FTD–TPI 단독 치료 집단에 비해 더 긴 전체 생존 기간을 보였다는 결과를 보고합니다. 이로써 FTD–TPI와 bevacizumab의 병합 치료가 대장암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제시하며, 이 연구는 이 두 약물의 조합 치료의 임상 유용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보석 발굴가: 안인복 님
3. Interstitial Lung Disease Induced by Anti-ERBB2 Antibody-Drug Conjugates: A Review
JAMA Network
[논공요] 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의 가장 중대한 부작용 중 하나인 간질성폐질환에 대한 리뷰 논문입니다. 아직까지 명확한 메커니즘이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에 대하여 저자의 의견을 참고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는 ERBB2에 대한 항체-약물 결합체(ADC)의 사용이 ERBB2 양성 유방암의 치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다른 종류의 ERBB2와 관련된 종양에 대한 시험에서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ERBB2 양성 위암에 대한 trastuzumab deruxtecan의 미국 FDA 승인 및 대장암, 폐암, 방광암에서의 유익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항-ERBB2 ADC의 잠재적인 폐 독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항-ERBB2 결합체 시험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간질성 폐 질환 (ILD) 관련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이러한 독성 효과의 식별과 관리를 위한 의료진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ADC 관련 ILD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며, 이러한 독성의 조기 진단과 더 적절한 치료로 항암제 중요한 이러한 분류의 안전한 확장을 허용할 수 있을 것으로 결론짓고 있습니다.
보석 발굴가: 임정현 님
위 논문들은 ‘K-BioX Biomedical 저널 디스커션 포럼’ 카톡 오픈채팅방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논문 디스커션을 원하신다면 https://open.kakao.com/o/gBQ0CWTd
위 링크를 클릭하고 현재 1000명 이상이 함께하고 있는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세요!
편집: 신채림
제 링크드인에도 해당 정보가 올라와있습니다! 링크를 클릭하세요
질문을 달아도 좋을듯합니다. 이곳에서 질의 응답이 이루어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